잠들기 전 휴대폰 보는 습관이 나쁘다는 건 아는데 저는 좀처럼 안 고쳐지더라구요.
쉽게 잠들지 못하는 밤에 저는 오히려 폰을 더 많이 보게 돼요.
잠이 안 오는 상태로 누워 있으면 괴로워서 말이죠.
휴대폰을 보면서 잠이 들 때까지 시간을 보낸다고 하지만, 보고 있으면 한두 시간 훌쩍 가버리는 건 기본입니다.
그러니 오히려 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도 같아요.
잠들기 전 휴대폰을 보는 습관이 여러모로 결코 좋지는 않을 것 같죠..
구체적으로 어떻게 건강에 안 좋은지 기사를 발견해 가져왔어요.
읽어보니 좀 무섭네요.
침대에는 폰을 안 들고 가기로… 다짐을 해봅니다ㅠ
(헬스조선 기사 중에서)

숙면 방해
자기 전 휴대폰을 보는 습관은 숙면을 방해한다.
밤에 잠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은 빛에 민감해, 작은 스탠드 불빛(약 10LUX)에만 노출돼도 분비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.
따라서 새벽에 깬 후 잠들기 어려운 ‘수면위상전진증후군’ 등 수면 장애를 일으키거나 일주기 리듬을 지연시킬 수 있다.
특히 자기 전 유튜브 시청을 하는 사람이 많은데, 자극적인 콘텐츠는 맥박과 혈압을 올려 깊은 잠에 못 들게 한다.
우울증 발병 위험
자기 전 휴대폰을 보는 그 순간은 즐겁겠지만, 의외로 우울증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.
실제로 성신여대 연구팀에 따르면 자기 전 휴대폰을 하는 습관 탓에 늦게 자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울 수준이 약 25%, 불안 수준이 약 14%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잠자는 시간이 늦어지는 것은 수면장애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까지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.

안구건조증 유발
자기 전에는 보통 불을 다 끈 상태에서 휴대폰만 집중해서 보는 경우가 많은데, 눈 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.
어두울 땐 홍채가 커진 상태로,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망막에 도달한다.
이때 오랜 시간 휴대폰의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망막과 망막 내 시세포 손상을 일으킨다.
뿐만 아니라 ▲안구건조증 ▲백내장 ▲녹내장을 일으켜 시력을 떨어뜨리고, 자칫하면 실명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.
뇌 기능 저하
야간에 휴대폰의 약한 빛에만 노출돼도 뇌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.
고대안암병원 연구팀의 연구 결과, 수면 중 10LUX 정도의 빛에 노출된 경우 다음 날 낮의 뇌 기능 상태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.
특히 하부 전두엽 기능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쳐 작업기억능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고됐다.
체중 증가
살을 찌게 할 수도 있다.
생체리듬의 불규칙한 변화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증가시키는데, 이는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작용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.
체지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렙틴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살이 찌기 쉬워진다.
실제로 저녁에 밝은 빛에 노출될수록 체질량 지수가 높아지고, 허리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.
'정보 > 건강과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갱년기에 좋은 겨울 고구마의 효능과 먹는 법 (52) | 2024.01.29 |
---|---|
남성보다 많은 여성의 치매 이유와 예방 (7) | 2024.01.19 |
암을 유발하는 생활습관 5가지 (30) | 2024.01.09 |
아침 기상 후 건강에 해로운 습관 (61) | 2024.01.07 |
국내산 콩 100% 달지 않은 두유 <잔다리 약콩두유> (21) | 2023.12.30 |